전체 글100 01. 다시 시작하는 배밭.. 4-5년전 가을 배밭일을 한참 하는 도중에 뒤를 돌아보니 불이 나고 있었다. 불은 점점 무섭게 타고 배밭으로 향해 가고 있었다. 119에 전화를 했는데.. 장난 전화 인줄 알고 끊으려 하는 것 이었다. 정말 불 났는데 장난전화 라는 단어에 화가 났고, 원인도 모르는 불에 배나무에 옮겨 붙기 시작했다. 그제서야 정말인지 알고 출동 해 주겠다고 하고 ... 배밭에 80퍼센트 불이 번지고 있을때 119대원들이 왔다. 진화 작업은 빠르게 해줬고, 원인은 지나가던 차가 던진 담배꽁초에서 불이 났다고 했다. 이제 거의 배나무 다 죽었겠거니 하고 일년후에 가보니 새순이 돋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번 기회에 자연주의로 키워보자 라고 생각하고 농약과 비료를 투과하지 안았다. 이번년도부터 다시 재대로 시작 해 보려 한다.. 2018. 5. 15. 2018.05.07 베란다 텃밭 일지 토마토의 꽃이 맺히기 시작했다. 모닝 고추도 꽃대가 나오기 시작했다. 원래 다른 고추모종은 키도 크고 가지도 많이 나오면서 꽃이 피는데 모닝고추는 다른가 보다 2018. 5. 15. 2018.05.02 베란다 텃밭 일지 토마토 키가 많이 컸다. 설마 모종상에서 방울토마토를 토마토라고 속여 팔지 않겠지?ㅎㅎㅎ 모닝고추는 처음인데 엄청 느리게 크는 것 같다. 상추도 많이 자랐다 매일 아침 베란다 텃밭을 가는게 습관이 되었다 카메라를 들고 요리조리 찍어가며 오늘 많이 컸네 아이예쁘다 이런 말을 하는 나도 힐링이 되는 것 같다. 2018. 5. 15. 2018.4.22 베란다 텃밭 일지 방울토마토, 모닝고추, 상추, 가지 모종을 구매 하여서 베란다에서 키워 보기로 했다. 채소값이 너무 비싸기도 했고 베란다에서 직접 기른 채소는 어떨까 궁금하기도 해서 실시 하게 되었다. 2018. 5. 15. 원예치료소개 박진우원예치료연구소는 원예를 도구로 이용하여 대상자들에게 심리적 안정과 재활을 목적으로 하여 세부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행복한 삶을 증진시키는데에 중점을 두고 원예치료강의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곳 입니다. 원예치료(Horticultural Therapy)란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인간의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하여 사회적, 교육적, 심리적 혹은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이로 말미암아 육체적 재활과 정신적 회복을 추구하는 전반적인 활동입니다. 최근에는 ‘원예치료란 원예치료사가 대상자의 질병이나 장애를 파악하고, 의도적이고 달성 가능한 치료목표를 정한 다음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달성 함으로서 대상자의 심신회복과 재활을 추구하는 전문적인 활동’입니다. 2017. 10. 9. 박진우원예치료연구소 안내 ------ 안내 ----- 박진우원예치료연구소 위치 상담문의 : 010-3491-0013 카카오톡: 박진우원예치료 2017. 8. 26. 살아있는 화석, 은행나무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갈잎 큰키나무이다. 학명은 Ginkgo biloba 이다. 은행의 일본어 발음인 긴난을 깅요로 잘못읽고, 이를 독일 식물학자 캠퍼가 그의 저서 『견문기』에서 긴쿄로 잘못 쓴 것이 오랫동안 사용되면서 속명이 굳어 졌다. 종명은 빌로바는 잎이 두갈래로 갈라진 것을 의미 한다.원산지는 중국, 우리나라, 일본 이다. 은행나무의 역사은행나무가 지구상에 출현한 것은 약 2억5천만년 전이다. 그동안 여러번의 빙하기를 견디어 내고 지금까지 살아남은 일과, 일속, 일종인 전세기의 화석식물로 유명하다. 은행나무는 암나무와 수나무가 마주하고 있어야 열매가 맺히는 데 이는 동물의 정충처럼 생긴 꽃가루가 스스로 움직여서 난자를 찾아가 비로소 열매가 열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은화식물에서 정충이 발견되기도 .. 2016. 10. 12. 압화 명함만들기와 국화정식하기 대상자 : 여중생목적 : 사춘기를 겪고 있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원예를 매개로 식물을 심는 활동을 통하여 생명존중과 배려를 인지시키는 것목표: 국화를 보면서 계절을 느껴보고 자연의소중함을 일깨우는 것 2016. 10. 12. 꽃의왕 ,모란 미나리아제비과 이며 학명은 Paeonia suffruticosa 이다. 속명의 '파이오니아'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의술의 신 '파이온'에서 유래된 것, 종명은 '아저목상의' 라는 뜻이다. 모란이라는 이름은 한자이름 목단이 우리말로 변한 것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매화와 더불어 중국의 나라꽃 중에 하나이다. 중국에서 모란의 재배역사는 아주 오래 전이다. 대략 서기 200년 부터 약초로 재배되다가 수나라때부터 원예용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였다.『목경해고』에는 " 옛날 목작약이라고 하는 것은 모란을 지칭한 것이다. 모란은 처음에 따로 이름이 없었다. 그래서 작약을 빌어 모란의 이름을 사용하였다 " 『본초강목』모란에서 "당나라 사람들은 이것을 목작약이라고 불렀다. 꽃은 작약과 비슷한데 몇 년을 지난 그 줄기는 나무.. 2016. 10. 12. 식물이야기 향기로운 꽃을 가진 나무, 금목서(만리향) 학명은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이다. 속명 오즈만 투스(Osmanthus)는 그리스어로 향기를 뜻하는 'osme'와 꽃을 뜻하는 'anthos'의 합성어로 '향기로운 꽃'이라는 뜻이며 변종명은 오란티쿠스는 등황색이라는 뜻이다. 나무껍질이 무소의 피부처럼 꺼칠꺼칠한 느낌을 닮았다고 하여 '목서'라는 이름이 붙었다. 금목서는 목서류 중 가장 향이 진하며 서향, 치자나무와 함께 3대 방향 수로 불릴 정도로 인기가 있는 나무이다. 그리고 유명한 향수 의 주원료로 사용된다.비교적 튼튼한 나무이지만 배기가스나 매연에 대단히 약하고 꽃 피우는 것도 나빠지므로 대기오염의 지표 목으로 활용된다. 맹아력이 우수하며 강전정에도 잘 견딘다. 토양의 과습이나 건조에 약하므로 장소를 잘 .. 2016. 10. 11.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